뇌하수체 전엽은 시상하부와 함께 호르몬 분비를 조절하기 때문에 master gland 라고도 불립니다. 위 그림과 같이 Prolactin(PRL), Growth hormone(GH), Adrenocorcocotropic hormone(ACTH), Luteinizing hormone(LH), Follicle-stimulating hormone(FSH), Thyroid-stimulating hormone(TSH)를 분비하여 각각에 해당하는 내분비기관들에 분비 신호를 보내고 있습니다.
뇌하수체를 구성하는 조직을 보면 아래 표와 같습니다.
Anterior Pituitary Hormone Expression and Regulation | |
Cell |
Corticotrope |
Somatotrope |
Lactotrope |
Thyrotrope |
Gonadotrope |
Tissue-specific transcription factor |
T-Pit |
Prop-1, Pit-1 |
Prop-1, Pit-1 |
Prop-1, Pit-1, TEF |
SF-1, DAX-1 |
Fetal appearance |
6 weeks |
8 weeks |
12 weeks |
12 weeks |
12 weeks |
Hormone |
POMC |
GH |
PRL |
TSH |
FSH LH |
Protein |
Polypeptide |
Polypeptide |
Polypeptide |
Glycoprotein , subunits |
Glycoprotein , subunits |
Amino acids |
266 (ACTH 1–39) |
191 |
199 |
211 |
210 204 |
Stimulators |
CRH, AVP, gp-130 cytokines |
GHRH, ghrelin |
Estrogen, TRH, VIP |
TRH |
GnRH, activins, estrogen |
Inhibitors |
Glucocorticoids |
Somatostatin, IGF-I |
Dopamine |
T3, T4, dopamine, somatostatin, glucocorticoids
|
Sex steroids, inhibin |
Target gland |
Adrenal |
Liver, other tissues |
Breast, other tissues |
Thyroid |
Ovary, testis |
Trophic effect |
Steroid production |
IGF-I production, growth induction, insulin antagonism |
Milk production |
T4 synthesis and secretion |
Sex steroid production, follicle growth, germ cell maturation |
Normal range |
ACTH, 4–22 pg/L |
<0.5 g/L* |
M < 15; F <20 g/L |
0.1–5 mU/L |
M, 5–20 IU/L, F (basal), 5–20 IU/L | |
이러한 호르몬들은 각자 분비되는 시간대가 다릅니다. 즉, 자기만의 분비 리듬을 가지고 있는 것이지요.
HPA Axis(Hypothalamo-Pituitary-Adrenocortical axis)는 보통 오전 6시에 최대량을 분비합니다. 즉 ACTH 와 cortisol은 이 시간에 혈중치가 가장 높아지겠죠. 따라서 쿠싱증후군처럼 cortisol 분비가 많아진 질환을 진단할 때, 밤에 억제 검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. 오전에는 원래 많이 나오니까요.
Prolactin은 REM 수면 때 많이 나옵니다. 또, 특이하게도 TRH(Thyrotropin releasing hormone) 가 PRL 분비를 유도하기도 한다지요.
성장호르몬(GH)은 잠 드는 시점과 관련되어 있어서 밤에 많이 분비됩니다. 밤에 자야 키가 큰다는 건 대략 맞는 말이 되겠네요. 또 나이에 따라 감소하기 때문에 중년이 되면 사춘기에 분비되던 양의 15%만 나온다고 하네요.
이러한 호르몬에 관련된 질환은 크게 세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. 호르몬 과다분비, 호르몬 결핍, 호르몬 저항성으로 말이죠. 호르몬 과다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뇌하수체종양이 있을 수 있습니다.
Classification of Pituitary Adenomas | |
Adenoma Cell Origin |
Hormone Product |
Clinical Syndrome |
Lactotrope |
PRL |
Hypogonadism, galactorrhea |
Gonadotrope |
FSH, LH, subunits |
Silent or hypogonadism |
Somatotrope |
GH |
Acromegaly/gigantism |
Corticotrope |
ACTH |
Cushing's disease |
Mixed growth hormone and prolactin cell |
GH, PRL |
Acromegaly, hypogonadism, galactorrhea |
Other plurihormonal cell |
Any |
Mixed |
Acidophil stem cell |
PRL, GH |
Hypogonadism, galactorrhea, acromegaly |
Mammosomatotrope |
PRL, GH |
Hypogonadism, galactorrhea, acromegaly |
Thyrotrope |
TSH |
Thyrotoxicosis |
Null cell |
None |
Pituitary failure |
Oncocytoma |
None |
Pituitary failure | |
어느 조직에서 종양이 기원하느냐에 따라서 위와 같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지요. 하지만 머리에 생긴 종양이다보니 가장 흔한 증상은 두통과 같이 머리에 덩어리가 커지면서 생기는 압박증상이라고 합니다.
우리몸의 성장과 항상성, 생식을 조절하는 호르몬, 그리고 이 호르몬을 조절하는 여러가지 다축 체계는 해부학적으로 구분할 수 없을 정도로 온 몸을 돌며 활동하고 있습니다. 각각에 대해서는 차차 알아보도록 하지요. (언제 다시 포스팅 할지는 모르겠지만...)
* 뇌하수체 종양 표는 빈도순으로 나열되어 있습니다.
출처 : Harrison's Principle of Internal Medicine 18th Edition Chapter 338-339